정보보호전문가12 대학원 정보보안전공 정보보호전공 사이버보안 사이버포렌식 보안 전공 일반대학원 특수대학원 정보보안 전문가 직장을 다니거나 학부 졸업을 앞두신 분이라면 취업을 할 것인지, 석사, 박사 학위 과정으로 진학을 할 것인지 고민을 하실 때가 있습니다. 프로그래머(개발자), 시스템 엔지니어, 운영자 등 IT와 관련된 직업에 종사하면서 정보보안 분야로 진출하고자 하는데 정보보안 및 정보보호 전공 석사, 박사 과정을 갈 수 있을까? 하시는 분들도 계실 것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정보보호학 석사과정에 진학하고자 하는 분은 학부에서 공부한 전공이 다르더라도 얼마든지 지원 및 입학을 할 수가 있습니다. 학점은행제 학사학위취득자도 석사과정에 지원하는데 문제 없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번 글에서는 정보보안 전문가가 되기 위해 석사, 박사 과정에 진학을 하실 분들을 위해 국내 정보보안 및 정보보호 전공 대학원에 대해서 살펴.. 2024. 3. 9. 보안, 정보보안, 정보보호, 개인정보보호, 정보보안 전문가, 정보보호 전문가? 용어를 제대로 알고 사용합시다. 정보보안 전문가, 정보보호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 우선 정보보호, 정보보안과 관련된 용어에 대해 이해를 해야 합니다. 정보보호(情報保護, information protection) 또는 정보보안(情報保安, information security), 보안, 개인정보보호, 정보보안 전문가? 정보보호 전문가? 과연 어떤 용어가 맞는 것일까요? 사실, 정보보안과 정보보호에 대해 어디에서든 명확히 정의되어 있지 않으며, 정보보안과 정보보호 용어를 동의어로 정의 및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양한 곳에서 정의된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1. 정보보안 및 정보보호 용어 정의 [출처] 네이버 국어사전 “보호(保護)”는 “ 위험이나 곤란 따위가 미치지 아니하도록 잘 보살펴 돌봄”, 보안(保安)은 “안전을 유지함.” [출처].. 2024. 2. 29. 정보보호관리체계 ISMS ISMS-P ISO27001 인증 심사원 정보보안 전문가 정보보안 전문가 10개 분류 중 10번째로 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 심사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 및 심사원의 정의 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 심사원이란 기업이나 조직의 정보보호관리체계가 국내 및 국제 표준에 부합하는지를 심사하고 인증을 부여하는 정보보안전문가입니다. 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 심사원은 국내의 경우 ISMS-P 인증 심사원, 해외의 경우 ISO27001 인증 선임심사원이 대표적입니다. 이외에도 정보보호, 개인정보보호와 관련된 국내외 심사원은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 국내/국제 용어의 정의 *ISMS-P : Personal Information &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ISO27001.. 2024. 2. 16.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