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의해킹5

CERT 전문가 침해사고 대응 분석 정보보안 전문가 정보보안 전문가 10개 분류 중 5번째로 CERT 전문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ERT(Cyber Emergency Response Team) 전문가는 보통 보안관제 전문가와 협업을 하며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보안관제 전문가는 이벤트, 이슈 등 위협에 대응을 한다면 CERT 전문가는 주로 위험이 발생한 사이버 공격, 사고 대응 및 분석을 하는 업무를 합니다. 따라서, CERT 전문가는 긴급한 대응을 위해 다양한 기술적 도구 활용 및 기술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통해 긴급 대응 및 해킹 공격 방법 등 사고 대응 및 분석에 대한 뛰어난 역량이 필요합니다. CERT 전문가의 정의와 역할, 업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CERT 전문가의 정의 CERT 전문가란 조직 또는 기업의 사이버 보안을 .. 2024. 2. 3.
보안관제 파견관제 원격관제 정보보안 전문가 정보보안 전문가 10개 분류 중 4번째로 보안관제 전문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안관제 전문가에 대해서도 관심이 많으실 겁니다. 보안관제 전문가를 알아보기 전에 잘못된 정보 먼저 먼저 알려드리겠습니다. 흔히, 신입사원으로 입사하신 분들한테 들어보면 대학교나 학원에서 교수님 또는 강사분들께서 정보보안 전문가가 되려면 모의해킹이나 보안관제를 먼저 해야 정보보호 컨설팅을 할 수 있고 다른 직무도 할 수 있다는 말씀을 하신다는 얘기를 듣곤 합니다. 물론 모의해킹이나 보안관제의 업무가 다른 직무를 하는데 도움이 될 수는 있겠으나 이러한 얘기들은 실무 현장과는 전혀 맞지 않다는 점 아셨으면 합니다. 제가 분류한 10가지 직무에 경력이 없더라도 신입사원으로 도전할 수 있으니 하시고 싶은 직무에 도전해 보시.. 2024. 2. 2.
웹 취약점 진단 모의해커 화이트해커 모의해킹 정보보안 전문가 정보보안 전문가 10개 분류 중 3번째로 웹 취약점 진단 및 모의해킹 전문가에서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모의해킹은 시스템 취약점 진단과 마찬가지로 정보보호 컨설팅 수행 시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스템 취약점 진단과 약간 다른 점은 웹 취약점 진단 및 모의해킹만 별도의 사업(프로젝트)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다는 점입니다. 이런 점 때문에 최근에는 모의해킹을 전문으로 하는 중소기업이나 프리랜서가 증가하고 있기도 합니다. 이 글을 통해 최근 잘못되고 있는 정보에 대해서도 한 말씀드려 봅니다. (특히 정보보호를 전공하는 학부생, 대학원생이거나 정보보호 분야에 입문하실 분들께..) 최근 블로그, SNS 등에 S학원, K정보원, H, I전산원 등등에서 웹 취약점 진단 및 모의해킹 교육생을 모.. 2024. 1. 31.